Videos Web

Powered by NarviSearch ! :3

중국어 배우는데 세월 낭비마라. (훈민정음, 한글) < 국제연합 어학원 < 예술방송 인권신문 교육원 < 기사본문 - 예술방송 인권신문

http://www.artstv.kr/news/articleView.html?idxno=95985
중국어 배우는데 세월 낭비마라. (훈민정음, 한글) 이전 기사보기 다음 기사보기

한국인만 모르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the_jed/222916171778
세종대왕 한글 반포 58년 후. 1504년 연산군 10년에. 훈민정음 사용이 금지 됩니다. 그 이후로 400년 동안 왕실과 사대부에서. 훈민정음 사용을 금지해왔고요. 1910년 한일 합방이 되면서. 일본어를 사용하게 하고,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에서. 아래아 삭제!

중국어 배우는데 세월 낭비마라. (훈민정음, 한글)

https://ruclips.net/video/AWIQiwjZRbA/%EC%A4%91%EA%B5%AD%EC%96%B4-%EB%B0%B0%EC%9A%B0%EB%8A%94%EB%8D%B0-%EC%84%B8%EC%9B%94-%EB%82%AD%EB%B9%84%EB%A7%88%EB%9D%BC-%ED%9B%88%EB%AF%BC%EC%A0%95%EC%9D%8C-%ED%95%9C%EA%B8%80.html
#동이족 한자 #훈민정음 #중국어#훈민정음 사라진글자 #한글날 훈민정음(한글) 창제 독창성: 기술적인 철학(삼사상+음양오행)과 대의 명분 실용철학(애민사상) 한국어의 사투리가 중국어 조선 왕들이 중국어를 배우는 방식 세종대왕은 한자가 동이족 것이라 발음을 바로 잡았다. 언어장벽 만리장성을

훈민정음으로 중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ohkukiii/223353567610
교육사업가이며 한국어 전도사로 불리는 이현준 대표가 한양대학교에서 특강을 한 '훈민정음'만 제대로 공부해도 중국어를 잘할 수 있다.'라는 내용의 동영상 자료입니다. 시간이 넉넉하신 분들은 동영상 전부를 시청하시면 좋습니다만, 여러 가지 일들로

훈민정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D%9B%88%EB%AF%BC%EC%A0%95%EC%9D%8C
『훈민정음』(訓民正音, 중세 한국어: 훈〮민져ᇰ〮ᅙᅳᆷ)은 한글의 옛 이름(첫 이름)으로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의 명칭이자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사용법 등을 해설해 놓은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세종 25년(1443년)에 창제 된 후 1446년(세종 28년)에 반포된

훈민정음에서 사라진 4글자(9가지 소리) :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https://rock1210.tistory.com/605
Posted by 자연&과학. 마플중국어, 한글DNA, 홍양호선생. ★무감이네★ 무감이 (默岩)네 입니다. 신조어,세상사,건강,한글,인문학,예술,건강,body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 원래 한글은 28글자로 창제되었다. 그런데, 일제시대때, 1912년 및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잘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https://ramses0305.tistory.com/311
1. 동자동음. 중국어 단어의 50%는 한글과 동일한 발음이 난다. 2. 자음법칙. 중국어의 자음은 탁하고 세다. (중국 발음은 느리고, 느린 대신 크고 탁하고 세다) 한글 발음이 격음, 경음, 권설음화 되어 있다. 초성은 그치고 정해지는 땅에 있으니 땅의 일이다 - 훈민

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

https://dhsrmstory.tistory.com/135
북쪽은첸, 틴, 이게 중국어 발음하고 비슷하죠. 훈민정음은 1443년 12월 30일 세종대왕께서 직접 만드시고 3년후 1446년에 반포하게 됩니다. 세종은 훈민정음 창제후 아들 3명한테 운회 (韻會, 사전)를 번역하게 해요. 훈민정음으로 운회를 번역하게 한 거죠. 그

훈민정음 원리 활용해 중국어 배운다 -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22/2015092201777.html
바로 '조선시대중국어'다. 조선시대중국어는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활용해 중국어를 알려준다. 덕분에 한글을 사용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조선

자랑스러운 우리 말 우리 글 훈민정음, 중국어 소개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talktalkchina&logNo=222110706271
자랑스러운 우리 말 우리 글 훈민정음, 중국어 소개. 강현주 중국어 ・ 2020. 10. 9. 0:53. [경향신문] "네 (수양대군)가 해야 할 일이 있다.". 훈민정음을 반포 (1446년 10월·세종 28년)한 세종이 7개월전 죽은 부인 (소헌왕후·1395~1446)의 명복을 빌기 위해 둘째아들 수양

"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가 보입니다."이현준의 훈민정음으로 배우는 중국어 40:38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1142cho&logNo=223114316740
한글로 배우는 특별한 중국어 학습법은 마이풀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출처 문헌 - 10분 39초 ~ 문헌 속 이미지 참고 인용] - 세종 국어문화원 기획/김슬옹(2014).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3+5(A4 12단 접이형)≫.

385. 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lvino111&logNo=222235395114
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중국어특강 #훈민정음 #훈민정음사라진글자"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가 보입니다."20년 외국어 교육 사업가이카이스 이현준 대표의 중국

훈민정음 과 중국어 - 벨로그

https://velog.io/@aiia/%ED%9B%88%EB%AF%BC%EC%A0%95%EC%9D%8C-%EA%B3%BC-%EC%A4%91%EA%B5%AD%EC%96%B4
훈민정음 과 중국어. 언문으로 '운해' (사전)을 번역시킴. 발음 표준어를 만드는 게 '운회', 그것이 '홍무정운'. 베이징 북경 발음을 표준어로 해서, 표준어로 음을 만든 사전 '운회' 원래 '고금운회거요'라는 이름. 최초 28자, 현재 24자.

훈민정음 중국어 2 | 원암문화재단 -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596418
이 책이 속한 분야.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훈민정음으로 중국어를 배우는 『훈민정음 중국어』 제2권. 훈민정음으로 중국어를 재미있게 공부해나간다. 앙증맞은 그림을 함께 실어 흥미를 자아내면서 이해를 도와주고 있다. 중국어를 쉽게 따라하도록 한국어로

훈민정음에 나오는 `중국`, 어디를 가리키는 걸까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ulture/7505282
이런 혼란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한글 창제 원리를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이 1940년에서야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한글의 자모가 인체의 발음기관을 형상화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세종대왕의 독창적 산물이라는 것 역시

자랑스러운 한글창제 훈민정음(訓民正音)

https://poslink.tistory.com/entry/%EC%9E%90%EB%9E%91%EC%8A%A4%EB%9F%AC%EC%9A%B4-%ED%95%9C%EA%B8%80%EC%B0%BD%EC%A0%9C-%ED%9B%88%EB%AF%BC%EC%A0%95%EC%9D%8C%E8%A8%93%E6%B0%91%E6%AD%A3%E9%9F%B3
훈민정음 (訓民正音)은 한글의 옛 이름 (첫 이름)으로 세종대왕 (世宗大王)이 창제 (創製)한 문자의 명칭이자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사용법 등을 해설해 놓은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세종 25년 (1443년)에 창제된 후 1446년 (세종 28년)에 반포된 훈민정음의 뜻은

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ㅣ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https://rock1210.tistory.com/1109
우리나라 한글날은 세종29년(1446년) 음력 9월29일 훈민정임 반포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9일을 한글날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은 한글이 만들어진 세종15년(1443년) 음력 12월30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1월 15일을 한글날로 사용하고 있다. ---- 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ㅣ사라진 한글로

왕초보 중국어, 훈민정음의 사라진 발음 연습하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mypool_official/220915061320
처음 블로그 포스팅 한 날부터 중국어 공부를 시작한 마풀러는 무한 반복 학습을 하고 있답니다. 마풀중국어는 무제한 강의 니까요ㅎㅎㅎㅎ. 훈민정음의 중국어 발음을 복원하여 한글로 완벽하게 중국어 발음을 가르쳐주는 마풀중국어! 한국인이 중국어를 가장

중국어 배우는데 세월 낭비마라. (훈민정음, 한글)

https://www.pinterest.fr/pin/600-youtube--149885493836016554/
Aug 19, 2019 - #동이족 한자 #훈민정음 #중국어#훈민정음 사라진글자 #한글날훈민정음(한글) 창제 독창성: 기술적인 철학(삼사상+음양오행)과 대의 명분 실용철학(애민사상) 한국어의 사투리가 중국어 조선 왕들이 중국어를 배우는 방식세종대왕은 한자가 동이족 것이라 발음을 바로 잡았다.언어장벽

예술방송 인권신문

http://www.artstv.kr/
중국어 배우는데 세월 낭비마라. (훈민정음, 한글) kbs 역사스페셜 - 소리문자 훈민정음 어떻게 만들어졌나; 역사를 바꾼 위대한 유산, 한글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젊은애들이 이정도로 한국에 미쳤나요?" 미국 전체 기겁하게 만든 8분 영상

없어진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대하여; 옛한글/자모; 훈민정음을 활용한 중국어 발음 표기; R과 L 한글 발음 완벽 구분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kpark777&logNo=223064864648
없어진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대하여. 2021. 1. 24. 21:00. . 세종대왕께서 1443년에 한글을 창제하실 당시 훈민정음은 자음17자, 모음 11자 총 28자였습니다. 여기에서 훈민정음 (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지요. 그러던 것이 주시경 선생께서

한국강해설교연구원 | 쉽게 배우는 중국어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agaser/6Utl/3230
(156) 중국어 배우는데 시간 낭비마라 2 (feat 한글, 훈민정음) - YouTube 다음 카페의 ie10 이하 브라우저 지원이 종료됩니다. 원활한 카페 이용을 위해 사용 중인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해주세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중국어 50%는 그냥 알게된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7162903
한국내, 중국 발음은 지역별로 달랐다. 훈민정음 창제후 초기에 동국정운 완성. 홍무정운 중국 표준발음책. 한국은 동국정운을 만들어 표준발음을 만들었고 이는 편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동국정운 . 중국음 한국음 다른데 처음은 비슷했지만 땅 다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