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s Web

Powered by NarviSearch ! :3

[아하! 우주] 우주는 무한한가? 끝이 있다면 그곳은 어디일까? |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702601011
이는 과학자들이 아직 명확한 답을 얻지 못한 질문들이다. 대체로 많은 사람들이 사방으로, 영원히 은하들을 지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경우 우주는 끝도 경계도 없는 무한한 것이다. 그러나 우주는 끝이 있다고 일부 과학들은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반론을

인간은 우주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 기획 < 뉴스 < 기사본문 - 헬로디디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8582
이럴 경우 인간은 얼마나 멀리 갈 수 있을까. 대답은 바로 앞서 설명한 로컬 그룹까지다. 로컬 그룹은 인식 가능한 우주 가운데 0.00000000001%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여행하려는 우주는 이렇게 거대하고 두려움조차 느끼게 할 만한 수준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에 성공할 수 있을까? -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4287078
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에 성공할 수 있을까?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우주발사시스템 (SLS)'이 발사 모습. 현재 우주엔 미국과 중국의 경쟁 구도라는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원제:[NGC]Journey to the Edge of the Universe

https://m.blog.naver.com/hsb010505/220585247098
우주 끝으로의 여행은, 세상의 끝까지 갈 수 있다면, 우리가 볼 수있을 것을 조사한 영상이다. National Geographic presents the first accurate non-stop voyage from Earth to the edge of the Universe using a single, unbroken shot through the use of spectacular CGI (Computer-Generated Imagery) technology.

"인간이 본 우주 가장 깊은 곳"…160만㎞ 천체서 보내온 사진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6236
사진은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총 12.5시간 동안 다양한 파장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합성한 것으로 허블 우주망원경의 적외선으로 몇주간 촬영한 것에 비유할 수 있다고 이날 나사는 전했다. 이 사진들은 제임스 웹 망원경이 지난해 12월 25일 지구를 출발해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우주의 끝까지 갈 수 있을까? : 과학향기 Story : KISTI의 과학향기

https://scent.kisti.re.kr/site/main/archive/article/%EC%9A%B0%EC%A3%BC%EC%9D%98-%EB%81%9D%EA%B9%8C%EC%A7%80-%EA%B0%88-%EC%88%98-%EC%9E%88%EC%9D%84%EA%B9%8C-20191111073000
우리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 까요? 글쎄요? 국부은하군 밖에 못갈겁니다. 인류가 갈 수 있는 가장 먼 거리죠 엄청난 크기인 것 같지만 우주에서 국부은하군이 차지하는 크기는 고작 0.00000000001% 뿐이죠 잠깐 그 크기를 생각해 봅시다 대략 수천억 분의 1이

우주에는 끝이 있는가?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bcscience/science/contents/211111121932725BV
우리가 '우주'라고 말할 때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거라면, 확실히 우주에는 끝이 없다. 만약 끝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모든 것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모순에 빠진다! 하지만 사람들은 종종 끝이 있다는 가정 하에, 약간 다른 식으로 질문을 던진다.

달 탐사: 인류가 미지로 가득찬 '달 남극'으로 향하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6699189
결국 10여 년 후 인류가 달의 남극에서 전개할 활발한 활동의 서막을 연 것은 인도의 우주선이다. 영국 개방대의 행성학자인 시메온 바버는 "이런 일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 지구 밖 첫 동력 비행에 성공 -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6811620
지구 밖 첫 동력 비행에 성공.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 (Ingenuity)가 19일 화성 하늘을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무인 소형

우주여행 역사 60년…우주로 간 인간 600명 돌파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1133800009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 우주 공간에 도달한 인간의 숫자가 600명에 이르렀다. 우주를 향한 인간의 여정이 시작된 지 60년 만이다. AP통신은 10일 (현지시간)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 인듀어런스'호를 실은 스페이스X

우주는 무한한가? - 참을 수 없는 우주의 무한함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imhangbae/knowledge/contents/220118182414777BA
따라서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 내에서 우주가 유한하다는 증거는 없다. 관측으로 우주가 무한한지 확인하기는 거의 불가능해 보이지만, 무한한 우주를 상상하는 데는 제약이 없다. 더 나가서 사람들은 그런 우주가 무한히 많이 존재하는 다중우주의 가능성도

우리가 우주에 대해 아는 것과 그 한계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1207
책 제목 『마지막 지평선』(L'ULTIMO ORIZZONTE)이 시사하듯, 저자는 우주 기원의 비밀을 인류가 현대 과학이란 틀 속에서 최대한 파헤치고, 인문학적으로 사색하자고 권한다.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궁극적 지평선 끝까지. 굳이 '지평선'이란 표현을 쓴 것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우주는

"빅뱅 이전 우주, 인류가 이해하기 어려운 공간 있을 수 있어"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8908
그렇게 되면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거대한 블랙홀이 충돌하는 것도 관측할 수 있을 것이고, 우주 초기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주 초기를 얘기하니 궁금해진다. 빅뱅 이전의 우주는 어떤 형태인가. 그건 나도 모른다. 아직 해답이 없다. 어쩌면 3

[아하! 우주] 13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시간여행 통로 '웜홀' 존재 가능(연구) |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105601014
우주. [아하! 우주] 13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시간여행 통로 '웜홀' 존재 가능 (연구) 은하 중심부에 있는 일부 초거대 질량의 블랙홀이 실제로는 우주의 먼 두 부분을 연결하는 웜홀이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천재 과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이광식의 천문학+] 인간이 관측 가능한 우주와 실제 우주의 차이는? |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317601002
당신은 얼마나 멀리 볼 수 있습니까? 만약 당신의 눈이 모든 종류의 복사선을 감지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당신이 지금 볼 수 있는 모든 것, 그리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는 모든 것이 이른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관측 가능한 우주'입니다. 빛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멀리 있는 것은

세상의 끝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84%B8%EC%83%81%EC%9D%98%20%EB%81%9D
에르나 사가에서는 사악한 바람을 막는 봉마검을 산 꼭대기에 꽂아 인간이 살 수 있는 세계를 만들어냈다. 에스카 & 로지의 아틀리에 ~황혼 하늘의 연금술사~ 에서는 게임 내의 지역 중 하나로 '세상의 끝' (世界の果て)이라는 곳이 존재한다. 작중 인물 중 어윈

우주는 어떻게 생겼는가? - 1. 땅과 하늘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imhangbae/knowledge/contents/211218000228439Xz
by 김항배. 인류가 그려온 우주의 모습은 관찰과 해석과 상상의 합작품이다. 일상적인 관찰을 통해 우리는 현재 살고 있는 세상이 땅과 하늘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땅과 하늘이 자연스럽게 나눠짐은 우리의 삶이 대부분 땅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는 지구입니다"…외계인에 메시지 보내려는 과학자들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7040600009
그는 2010년 인터뷰에서 "발달한 외계인들은 그들이 갈 수 있는 모든 행성을 정복하고 식민지화하려고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태양계 밖에 있을지도 모를 지적 외계생명체에게 지구와 인류 문명의 존재를 알리려는 작업은 수십 년 전부터 시도되고 있다.

지평선처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우주는 극히 일부일뿐[Book]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1075
책 제목 『마지막 지평선』(L'ULTIMO ORIZZONTE)이 시사하듯, 저자는 우주 기원의 비밀을 인류가 현대 과학이란 틀 속에서 최대한 파헤치고, 인문학적으로 사색하자고 권한다.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궁극적 지평선 끝까지. 굳이 '지평선'이란 표현을 쓴 것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우주는

외계 생명체와의 만남을 준비하며 우리가 놓친 것 -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3532033
우리가 놓친 계획. 니클라스 헤드먼 UN 우주업무사무소 이사는 인류가 지능을 가진 외계 생명체와 만났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정한 국제

[이광식의 천문학+]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원자가 몇 개나 있을까? |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720601009
그러나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안다고 해서 그 안에 얼마나 많은 원자가 있는지 다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우주 안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담겨 있는지 알아야 한다. 더욱이 물질만 우주에 있는 것이 아니다. NASA 발표에 따르면 물질이 우주에 차지하는

[2024 경향포럼][대담 전문]힐러리 클린턴 "분열로 퇴보하는 세상, 함께 더 나아지는 길 찾아야"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national/court-law/article/202406260933001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경향포럼>에서 '모든 시민을 위해' 존재해야 할 민주주의가 퇴행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들어 소수자를 배제하고 인권을 침해하려는 흐름이 두드러진다는 뜻이다. 특히

[아하! 우주]'우주의 끝'은 있을까? 알수록 놀라운 구조 |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315601005
우주]'우주의 끝'은 있을까? 알수록 놀라운 구조. 허블 망원경이 잡은 우주의 끝 '허블 울트라 딥 필드'. 약 130억 광년 밖의 풍경이다. 이는 곧 130억 년 전 아기 우주의 모습이란 뜻이다. (사진=NASA) 허블 망원경이 잡은 우주의 끝 '허블 울트라 딥 필드'.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