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s Web

Powered by NarviSearch ! :3

[태인문화사] 내 옆에는 왜 양심 없는 사람들이 많을까?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bookforest001/221680926728
내 옆에는 왜 양심 없는. 사람들이 많을까? 고통과 상처 받은 사람들을 위한 정신건강의학적 처방. 최환석 지음. 태인문화사. 값 14,000원. ISBN 978-89-85817-55-4 03320. 공감제로, 양심 없는 사람들로부터 받는 고통과 상처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정신건강

롤스 정의론 | 정의의 두 원칙, 평등의 원칙, 차등의 원칙 #3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ofoskim/221967444842
지난 시간에 우리는 정의의 원리 원칙의 추론과정, 즉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에 대하여 살펴봤지요. ... 말하자면 정의의 제1원칙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은 양심, 신체, 직업,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정치활동에 관한 자유와 더불어 양심, 사상, 가치관, 세계관

[하영삼의 한자 키워드로 읽는 동양문화(19)] 법(法), 시대의 절대 선인가?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6569
이와 관련해 방법(方法)을 뜻하기도 하고, 어떤 표준을 뜻하기도 하고, 법술(法術)이나 술법(術法)에서처럼 어떤 '표준'의 응용을 뜻하기도 한다. 또 불법(佛法)에서처럼 '가르침'을 뜻하기도 한다. 어떤 표준이거나 가르침이라면 반드시 본받아야 할 대상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법전을 만든 사람 :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313624&memberNo=369800
대한민국 헌법이 버젓이 있는데 남의 나라 법전을 읽었던 것이죠. 그때 한 사람이 우리나라 말로 된 우리나라 법전을 출간하고자 했습니다. 1959년 3월, 대한민국 최초의 법령집인. 법전 (法典) 창시! 3년에 걸친 작업 끝에 대한민국 최초로 법전을 출간한 사람은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 법의 본질은 무엇인가?" - 대학지성 In&Out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50
이 책은 인류의 전 문명사를 통틀어 인간은 늘 법의 영향하에 있었음을 실증한다. 저자는 법이 인류 문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라고 분석하며, 우리가 기존에 법이라고 인식하지 않았던 영역까지도 '법이라는 렌즈'를 통해 문명을 조망한다. 이 장대한

"명분·신념보다 법과 양심을 생각해야 할 때" -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8045
위협의 법이 아닌 덕의 정치는 무엇보다 부끄러움을 알게 하는 정치다." '한국 인문학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가 《법과 양심》을 펴냈다. 이 책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김 교수가 강연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엮었다.

왜 법이 문제일까?: 10대에게 들려주는 법이야기 - 김희균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EC%99%9C_%EB%B2%95%EC%9D%B4_%EB%AC%B8%EC%A0%9C%EC%9D%BC%EA%B9%8C.html?id=XzlCEAAAQBAJ
왜 법이 문제일까? : 세상을 구성하는 뼈대, 법! 내가 꿈꾸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법 바로 알기 사회를 구성하는 언어,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법 이야기 '법 없이도 사는 사람'이란 말이 있다. 도덕적인 사람, 흠결이 없는 사람에게 칭찬 조로 건네는 이 말

양심을 잘 지키는 사람이 지능이 높은 이유 - 브런치

https://brunch.co.kr/@bookmir90/254
남에게 피해를 끼치고, 자기 멋대로 하는 사람에게 " 너 진짜 양심 없다."라고 지적하면, 오히려 기뻐한다. " 어 그래 나 양심 없다!" 이렇게 칭찬이라도 받은 듯이 대답할 것이다. 그런데 살짝 말을 바꿔서 " 양심이 없는 건 지능이 낮아서래."라고 말해보자.

[실질적 법치주의를 위한 고민] 정의로운 법이란 무엇인가? - 부산일보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60427000039
반면에 그 법이 정당한 내용을 담고 있고, 법을 적용하는 과정도 공정하다면 이는 '실질적 법치주의'에 해당한다. 실질적 법치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정당한 법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법원에서 공정하게 판결을 내리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

(칼럼) 법(法)을 거미줄로 아는 양심 없는 정치인 < 사설/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경안일보

http://www.g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82961
다수의 범법자도 22대 국회에 입성한다. 이들은 법 (法)을 거미줄로 믿고 설치는 후안무치 (厚顔無恥)한 양심 없는 정치인이다. 우리는 오래도록 이들을 기억해야 한다. 사람이 사람으로 고귀하다고 하는 것은 사람에겐 양심이 있기 때문이다. 짐승이 아무리

법이 지닌 불완전함 속에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방법 < 주목, 이 책 < 책 < 학술·책 < 기사본문 - 대학신문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48
법은 기본적으로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규율하기 때문에 법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조정돼 나가는지 파악하면 그 사회가 표방하는 핵심적 가치를 들여다볼 수 있다. 『검사내전』은 법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현직 검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낸 책이다. 저자는 직접 다뤘던 형사 사건들을 되짚어

위기의 사법부 | 현직 판사가 말하는 '법관의 양심' : 월간조선

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2002100018
사진=조선DB. '법'이라는 것은 객관적이고 일의적 (一義的)이며, 외형적이고 가시적인 것을 그 본성으로 한다. 그래서 '양심 (良心)'과 같이 주관적이고 다의적 (多義的)이며, 심리적이고 잘 보이지 않는 실체는 법과 잘 부응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이처럼

자연의 순리와 법 < 법제 < 지식창고 : 법제처

https://moleg.go.kr/mpbleg/mpblegInfo.mo?mid=a10402020000&mpb_leg_pst_seq=130738
자연의 순리와 법. 자연의 순리와 法 유병훈 (법제처 법제조정실장) 재작년 1월 법제처에서는 참여정부의 출범에 즈음하여 법제처를 상징하는 로고를 물이 흘러가는 형상으로 바꾼바 있다. 法若水去이런가. 초대 법제처장 유진오 선생께서도 이러한 휘호를

#329.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의 경전, 제러미 벤담.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airline36/221474049905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또는 도덕과 입법의 원리에 대한 서론 (원칙에 대한 서론). 제러미 벤담 지음. 1789년 출판. 국내 2011년 번역 출판. 연세대학교 고정식 옮김 및 나남출판사 펴냄.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오늘날까지 정의와 도덕 논쟁의. 핵심에 서 있는

[기독논단] 법과 양심 사이 < 논단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주간기독신문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618
교단 총회와 총신대 사이에 겪고 있는 내홍은 서로 '법'을 내세우며 게임 논리를 하는 양상이다. 진정으로 서로의 덕을 세우며 하나님의 일을 이루는 '양심의 원리'로 돌아가면 쉽게 풀릴 수 있다. 우리 모두 한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자녀들이다. 그러니

법 없이도 살 수 있을까? 법의 특성과 필요성 :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819522&memberNo=15194331
"사회가 있는 곳에 법이 있다."라는 말처럼 우리가 모여 살고 있는 사회에는 법이 존재합니다. 가족과 나 사이의 관계부터 학교 수업, 급식, 수학여행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행위 대부분도 법의 테두리 안에 있습니다.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 - geulhangari.com

http://geulhangari.com/archives/10522
법철학의 핵심 질문들에 대한 고차원적 해석 법률가와 법학자들의 의견 불일치 사안들에 대한 실천적 응답 법을 받아들여야 할 세심하고 도덕적인 이유들이 존재하는가 '법이 무엇인가'가 아닌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를 알 필요가 있는가 법실증주의와 비실증주의의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불쌍한 사람들 - 오마이뉴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16614
법이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 법이 다 감당할 수 없는 도덕과 양심, 관용과 정의가 사람들의 삶속에 뿌리박는 사회가 바로 법치사회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법률/법 일 반/법의 개념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B%B2%95%EB%A5%A0/%EB%B2%95_%EC%9D%BC_%EB%B0%98/%EB%B2%95%EC%9D%98_%EA%B0%9C%EB%85%90
이것은 양자 (兩者)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예로부터 많은 법사상에 있어서도 정의는 법에 고유한 이념 (정의는 법이다)으로서, 법이 우선적으로 실현시켜야 될 목적으로 되어 있었다. 법은 사회생활에 질서를

128. '양심(良心)'의 의미 - 브런치

https://brunch.co.kr/@dd05cb7dd85a42c/541
삶은 의미다 - 128 | '양심(良心)'은 '사물의 가치를 변별하고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옳고 그름과 선과 악의 판단을 내리는 도덕적 의식'을 말한다. 양심의 가책(呵責)이나 양심에 부끄럽지 않다고 말하듯이 자기가 행하게 된 일, 특히 나쁜 행위를 비판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의식을 말한다.

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2%95
법 (法, 라틴어: ius, 영어: law )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 을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 (自然法), 헌법 (憲法), 관습법 (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 까지를

법철학 1강: 법규범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onbc/221752727378
규범의 근거를 끝없이 묻다 보면 더 이상 물을 수 없는 최종적인 근거가 되는 규범(근본규범, Grundnorm) 또는 원리 및 이상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 실천이성 )을 강조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나와 남을 인간으로서 존중하라!'는 규범적인 요청이 규범의

'자연법의 원리'에 관한소고(/j、考) 1. 서 론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72632/1/07.pdf
ion'의 어원은 ' avertere(tum away)>ab+verto' 이다. 흡스는 이와 관련된 Greek 어 . 에 대해서도 포르 . 있다.'자연법의 원리 l 에 관한 소고(小考) 189의 안전을 바라게 되며, 명예를 추구함으로서 타인 . 의 자신에 대한 평가를 좋은 것으 로 유지한다. 흡스는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