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s Web

Powered by NarviSearch ! :3

도자기작업영상 :: ViewTube

https://viewtube.io/results?search_query=%EB%8F%84%EC%9E%90%EA%B8%B0%EC%9E%91%EC%97%85%EC%98%81%EC%83%81&upload_date=all&type=all&duration=all
도자기 만드는 과정. ... (ENG) 흙 파오는 일에서부터 가마제작까지 / 도자기 제작의 전 과정을 혼자 !! [장인의 과정] 15,156 views. 2 years ago. ONDO STUDIO. 안녕하세요 온도 구독자 여러분:) 이번 영상은 물레 ASMR 입니다. 편안히 감상해 주세요!

모두 | 흙이 도자기가 된다고?

https://modu.museum.go.kr/explore/video/20096
흙이 도자기가 된다고? 도자기 제작 과정과 문양이 도자기에 담기는 과정을 담은 '흙이 도자기가 된다고?'. 샌드아트 영상을 소개합니다. 신미리 샌드아트 작가 손 끝에서 피어난 도자기 이야기를 감상해보아요! 영상을 보면서 흙이 도자기가 되는 과정 (채취→

흙에서 하나의 도자기로 완성되기까지! 도자기 만드는 과정 알아봐요!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ocef1&logNo=223067500908
다양한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모습을 보니. 한 개의 도자기 속에 많은 정성과 시간이. 담겨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도자에 대해 몰랐던 지식을 알고, 되새겨볼 수 있는 시간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도 다양한 도자 정보와 함께.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흙이 도자기가 된다고? - 온라인 교육ㆍ체험 -집콕문화생활-문화포털

https://www.culture.go.kr/homes/eduView.do?seq=669
신미리 샌드아트 작가 손 끝에서 피어난 도자기 이야기를 감상해보아요! 영상을 보면서 흙이 도자기가 되는 과정 (채취→정제→흙밝기→흙가래 성형→물레성형→건조→초벌구이→장식→시유→재벌구이)에 대해 알아보고, 국립광주박물관 도자 문화재를

전통 가마 안에서 만들어지는, 도자기의 굽는 원리와 도자기가 구워지는 과정을 확인하는 방법들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rkksj2314&logNo=220732665979
가마 안의 온도를 확인하는 방법 - 3.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구멍이 나 있는 형상에 그 속으로 도구를 집어 넣어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이 다양한 이유는 보다 온도에 대해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유약이 도자기에 골고루 퍼지게

웨지우드의 파랑: 자스퍼_18 - 브런치

https://brunch.co.kr/@dojaki/89
영국도자기마을: 스톡온트렌트 | jasper 자스퍼 자스퍼 웨어는 웨지우드에서 1770년대 발명한 흙의 한 종류로 만든 도자기를 말한다. 약 1200도에서 소성하는 스톤웨어이지만, 포셀린의 한 종류나 도기라고 하기도 한다. 흙이 독특하고 다른 곳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웨지우드만의 고유 흙이다.

흙이 그릇이 되는 과정. / 도자기 공예 / 도자기 배우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hahajin2001/221346540393
흙에서 그릇이 나오는 과정을 알게 되었어요.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흙을 잘라낸다. (산백토, 분청토, 백자토 등등 다양한 흙이 많습니다!) 2. 흙을 땅바닥에 쳐서 공기를 빼낸다! 3. 평평해지도록 밀대로 민다!

도자기 만드는 과정

https://cosmos1994.tistory.com/entry/%EB%8F%84%EC%9E%90%EA%B8%B0-%EB%A7%8C%EB%93%9C%EB%8A%94-%EA%B3%BC%EC%A0%95
도자기 만드는 과정 도자기 제작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본다면 성형, 건조, 1차 소성, 장식, 유약시유, 2차 소성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장식이 필요하다면 작업을 하고 3차 소성을 진행하게 된다. 성형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점토를 도재상에서 구매해서 쓴다는 가정하이다.

[Ebs 극한직업] 생활 속의 흙! '흙침대'와 '생활 도자기' 제작 현장을 가다! :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957477&memberNo=50250501
도자기 제작의 기본은 바로 소지 (흙). 생산하는 자기가 다양할수록 사용되는 소지의 종류 또한 천차만별이라는데 . 페트라이트 , 백토 , 혼합토 등 뚝배기부터 자연스러운 생활자기까지 모두 다른 소지에서 탄생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더욱 분주할 수밖에 없다 .

[도자기공부] 도자기의 정의와 제작과정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mdew7979/221806150008
도자기의 제작과정. 1) 재료준비. 흙, 나무칼, 비닐 (작업 중 수분 유지를 위한 용도), 물레, 나무판, 스폰지, 물, 도자기용 물감, 기타 제작에 필요한 도구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 2) 성형. 점토를 준비하여 반죽 후 핀칭, 코일링, 판성형 등 다양한 성형

도자기 공예 - 작업 도구 사용법과 관리+작업실 환경

https://nowiknow.co.kr/entry/%EB%8F%84%EC%9E%90%EA%B8%B0%EB%A5%BC-%EB%A7%8C%EB%93%A4-%EB%95%8C%EB%8A%94-%EC%96%B4%EB%96%A4-%EB%8F%84%EA%B5%AC%EA%B0%80-%ED%95%84%EC%9A%94%ED%95%A0%EA%B9%8C-%EB%8F%84%EA%B5%AC-%EC%82%AC%EC%9A%A9%EB%B2%95%EA%B3%BC-%EA%B4%80%EB%A6%AC
11. 3. 도자기의 성형 기법, 장식 기법이 다양한 만큼 도자기를 만들 때도 다양한 도구가 필요하다. 도자기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많은 도구를 살펴보고 관리법도 함께 알아보자. 도구를 알아보기 전에 작업실 환경부터 살펴보자. 초보자라면 자신의 작업 공간이

도자기 제작과정 / 도자기 만드는 과정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oyenong&logNo=60125190753
첫번째 글은 '전통 도자기 제작 과정'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듯이 도자기는 흙으로 기물을 만들고, 그 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하여 불에 구은 예술품입니다. 그 과정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에 실린 모든 사진의 실물과 설명은

흙에서 하나의 도자기로 완성되기까지! 도자기 만드는 과정 알아봐요!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kocef1/223067500908
다양한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모습을 보니. 한 개의 도자기 속에 많은 정성과 시간이. 담겨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도자에 대해 몰랐던 지식을 알고, 되새겨볼 수 있는 시간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도 다양한 도자 정보와 함께.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결국 흙으로 돌아가니까요" 자연의 시간을 굽는 도예가

https://www.thegage.co.kr/story/307
박종환 도예가가 도자기를 만들어온 시간이다. 마흔이 넘어 새로 시작한 도전은 그의 성격부터 옷차림, 식습관, 가치관, 삶의 방식까지 바꿔 놓았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는 자신과 잘 맞는 일을 발견했고, 자연스럽게 삶도 그에 맞춰 변화해 갔다. 서울과 이천

"흙가마·장작불의 예술 우리 도자기 문화는 인류유산 자격 충분"

https://www.joongang.co.kr/article/14101173
그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도자기를 직접 만드는 과정은 30%입니다. 흙 반죽하고, 잿물 바르고, 나무를 패고 때고 하는 과정이 70%죠. 이게 사람이 노력하는 부분인데 이건 전체 완성 과정에서 10%도 안 됩니다. 불이 90%를 결정하죠.

흙, 물, 불 박물관에서 만나다 | 보도 자료: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post/archive_2999
국립중앙박물관,[흙, 물, 불 박물관에서 만나다 ] - 빚음, 우리 도자기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에서는 자랑스러운 우리 조상의 전통문화인 도자의 이론과 실기를 배우고 전시실을 관람하는 일반인 대상의 전통문화체험 '빚음, 우리 도자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도자기소성용 전기가마 제작 교육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geocarina_/220828225185
정작 흙 작업에 관한 포스팅들도 오랜 세월 속에 묻힌 듯... 여하튼~ 대부분 연락이 오는 이유가 좀 더 싼 곳을 찾아서 전화를 했을 터~ ... 도자기 소성용 가마제작을 꼭 배워야 되겠다 싶은 분들이 있으면 웬만하면 구입하는 쪽으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ㅎㅎㅎ

도자기 제작과정 - 성형 - 흙가래 - Daum 카페

https://m.cafe.daum.net/123stitch/Djx6/9
도자기 제작과정. 1. 기본 학습 내용. 가. 단원의 개관. 인류는 수만년 전에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점토를 굽는 방법을 체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흙을 빚어 그릇을 구워 만드는 솜씨를 8000여년 동안이나 익혀 내려왔다. 지혜가 발달함에 따라

도자기 흙 종류 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ragimall&logNo=222928672474
첫 번째 흙 종류는 백자토입니다. 위해 사용하는 흙 중 하나랍니다. 푸른색을 띄는 흰색이 됩니다. 두 번째 종류는 산백토입니다. 좀 더 어둡고 누런빛을 띄고 있습니다. 파손율이 낮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아주 작은 점들이 생긴다는 점이 있습니다. 수축률은 약

09화 조선인 도공의 발자취가 남은 도자기 공방 겐에몬가마

https://brunch.co.kr/@inb4032/35
조선인 도공의 발자취가 남은 도자기 공방 겐에몬가마. 창업 260년, 생활 자기를 빚는 도자기 공방 겐에몬가마 (源右衛門窯) 임진왜란 이후 수많은 조선인이 일본에 납치됐다. 피로인 (被虜人)이라 불리는 이들 중에는 남부 지방에 살던 도공 (陶工)이 상당수

도자기는 어떤 흙으로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ㅣ 궁금할 땐, 아하!

https://www.a-ha.io/questions/4197b69003180f3ca97ef64ab740ea41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자기는 도기와 자기를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도기와 자기를 만드는 재료로는 점토, 장석, 규석, 도석 같은 흔히 찰흙이나 모래나 돌가루가 있으며, 이를 단독으로 만들거나 서로 섞어서 만들기도 합니다. 이후 각각 목적에

흙이 쓰임새를 찾기까지 - 도자기만들기 과정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0ssooni&logNo=220346582590
덩어리 상태인 흙을 전기물레나 손작업으로 형태를 만드는 것이 첫 과정. 형태 만들기 . 물레 작업 . 물레 위에 흙덩어리를 올려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냅니다. 어느 정도 마를 무렵 뒤집어 주어 고루 말리고. 기물이 반건조된 상태에서 뒷굽을 만드는 굽깎기

도자기 / 전통장작가마 (make natural ceramics)의 불때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nbi3333&logNo=220543624870
도자기 - 전통장작가마 향산요 > 마당에서 일광욕중인 까만 잿덩어리가 보이길래 처음 보는 거라 궁금해서 여쭤봤더니 . 볏짚 태운 재랍니다. 볏짚재가 도자기와 무슨 관련이 있나 싶었는데요... 도자기 유약으로 쓰일 거랍니다. 일 년 동안 쓸 볏짚재를 만들려면 볏짚이 2~3톤이 필요하다고 하십니다.